고객
-
기업과 디자이너, 디자이너 브랜드 성공학 (마케팅 접근)Marketing+ 2007. 11. 7. 15:14
기업과 디자이너의 협력은 디자인 개발만을 위한 한정적 제휴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포괄적인 협력 관계를 구축, 유지해 나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업이 이미 만들어 놓은 상품 컨셉에 디자이너가 단순히 ‘그림을 그리는 수준’으로 디자인에 소극적으로 관여한다면 디자이너 브랜드는 실패하기 십상이다. 상품 가치의 완벽한 구현을 위해서는 제품 기획, 개발, 생산, 마케팅 등 폭넓은 차원에서의 협력까지 확대할 필요가 있다. 최근 프라마폰, 아르마니폰 이라 하여 디자이너 브랜드를 가지고 탄생하는 제품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습니다. 평소에 들어봤을 법한, 눈으로 접해보았던 브랜드 이름들이 이제는 전자제품과 생활 필수품에 함께 옵션(?)화 되어 나오고 있는 형상을 LG경제연구원에서 "디자이너 브랜드 성공학"이라는 보고서로 잘..
-
ZARA, 자신만의 라인을 개척하다Marketing+ 2007. 9. 13. 14:50
▒ 목차 ▒ 1. 패스트 패션(Fast Fashion) 2. 패스트 패션의 선두주자 Zara 2.1 ZARA의 폭발적인 인기 2.2 패스트 패션에 생명을 불어 넣는 생산 속도 2.3 ZARA의 공급과 유통시스템 3. ZARA의 성공 전략 3.1 매일매일 다른 반응을 수집하라 3.2 최신의 명품스타일의 가격을 낮추어라 3.3 시장을 기반으로 공략하라 3.4 정확한 시간을 지켜라 4. 성공가도를 달리고 있는 ZARA의 고집 4.1 ZARA의 디자인 마인드 4.2 비즈니스 철학 4.3 패스트 패션에 전염되고 있는 한국 5. 시사점 1. 패스트 패션(Fast Fashion) 지난 2003년 스페인의 펠리페 왕자와 레티시아의 약혼식에서 예비신부인 레티시아는 하얀색 슬랙스와 재킷이 조화를 이룬 멋진 정장을 입었다...
-
고객의 모든 것을 만족시킨다. 컨시어지(Concierge)Marketing+ 2007. 9. 13. 14:42
▒ 목차 ▒ 1. 컨시어지란? 2. 컨시어지 서비스와 고객가치의 관계 3. 컨시어지 서비스 사례 3.1 컨시어지 서비스의 실제적 활용 3.2 컨시어지 서비스와 디지털의 결합 4. 컨시어지 서비스 향후 발전 방향 4.1 변화하는 소비자와 컨시어지 서비스 4.2 한국에서의 컨시어지 서비스 전망 1. 컨시어지(Concierge)란? 이탈리아의 경제학자 팔레토가 발견한 20%의 고객의 매출이 전체의 80%를 차지한다는 ‘20:80법칙’은 우리에게 현대 사회에서 기업이 나아가야 할 방향으로서 강조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상위 고객 시장이 주목되기 이전부터 소위 Big Spender들을 주 타겟으로 하는 호텔 산업에서는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큰 고객들을 위한 서비스가 이미 오래 전부터 존재해 왔다. 그 중 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