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객
-
소셜을 잘 활용하는 기업과 그렇지 않은 기업, 원론적인 2가지 포인트에 주목해보자웹과 IT 서비스/소셜 Social 2013. 2. 20. 17:17
이미 몇 차례의 디지털, 소셜, 온라인 마케팅에 대한 세미나 및 컨퍼런스가 성황리에 끝났다. 필자도 그 자리에서 연초의 분위기를 새삼 느끼고 돌아왔던 터라 비장한 마음가짐이 몸을 감싸고 있다. 하지만, 아직 무엇이 옳고 그른지는 판단하기 이르다. 단 지난 3년간 국내의 다양한 성공 케이스 들이 태어났고, 현장에서 치열하게 앞만 보고 달려가는 현업 종사자들에게는 지난 몇 개월의 타임라인을 정리하기에도 바쁠 것이다. 그렇다고 해도 잠시 마나 머릿 속에 흩어져 있는 원론적인 이야기부터 현실적인 트렌드까지 되짚어가며 바로 잡아야 할 것이 무엇인지 생각하는 것은 필요할 것 같다. 이것은 '내려놓음' 속에 찾는 복습의 의미가 아닐까? 소셜 미디어 채널에 최적화 된 콘텐츠, 공감과 경청 우리들은 흔히 말한다. 기업의..
-
[기고글] 소셜미디어와 마케팅: 소비자의 경험을 공유하는 온라인 마케팅 환경 변화웹과 IT 서비스/소셜 Social 2010. 8. 23. 23:04
기업의 마케팅 환경 변화에 맞춰서 소셜 미디어 및 채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려는 노력이 꾸준하게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기업의 마케팅 변화보다 소비자들은 소셜 미디어를 활용하여 "기업의 마케팅 환경 변화"에 대해 예의주시 하고 있다. 특히 국내에서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는 마이크로 블로그 서비스인 트위터와 미투데이의 이용자중 66%가 기업의 소셜미디어 채널 및 마이크로 블로그 서비스를 통한 마케팅 활동 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출처: 2010년 7월에 발표한 DMC MEDIA의 리서치 리포트). 기업의 소셜 미디어 채널 활용 경험을 살펴보면 이미 서비스 및 채널을 경험한 유경험자가 무경험자보다 기업의 마이크로 블로그 및 소셜 미디어 활동에 대해 더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어, 기업의 마이크로 블로..
-
블로그, 고객과 대화하는 가장 쉬운 방법 중 하나Marketing+ 2008. 12. 29. 17:30
블로그, 과연 많은 사람들이 즐겨찾고 활용하는 서비스인지를 생각하고 의문을 던지는 이들이 있습니다. 그만큼 블로그의 가치에 대한 추측과 이상이 많이 있기 때문이 아닐까 합니다. 그래도 블로그가 기업의 마케팅 요소로 고객과의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는 반가운, 아니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 가장 "쉬운" 방법으로 여겨지고 있다는 리포트가 나왔습니다. 2008년 8월, BuzzLogic and JupiterResearch의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4년간 매월 블로그를 읽는 "블로거"의 수치가 300% 성장했다는 내용을 시작으로 온라인 인구 중 거의 반 이상이 블로그를 읽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겠죠? 이는 위의 도표 및 그래프를 토대로도 최근 12달 블로그를 읽어본적이 없는 53% 수치 이외에 47%..
-
스타벅스, 고객을 놀라고 기쁘게 하라 - 고객이 힘이며 원천이다.Marketing+ 2007. 11. 14. 17:58
'놀라고 기쁘게 하라' 원칙이 품은 개념은 그리 새로운 게 아니다. 사실, 돈벌이에 이 원칙이 적용된 예는 100년도 전부터 존재했다. 요즈음 팝콘, 땅콩과 함께 '선물'도 제공한다는 아이디어로 승부수를 던지는 기업들이 점점 늘어나고 있다. 고객은 예측이 가능한 일관된 제품을 선호하면서도, 때로는 기대 밖의 변형이나 사은품에 열광하기도 한다. 행복감을 연구하는 심리학자들은 안전과 무난함을 보장하는 제품의 예측 가능성이 지루함을 상쇄시킬 수 있는 작은 변화를 동반할 때 사람들이 행복해 한다고 주장한다. 조셉 미첼리의 '스타벅스 사람들' 중에서 (명진출판, 115p) 출처: 예병일의 경제노트, 2007.11.14 21세기 신 마케팅&비즈니스 시대, 이성을 넘어선 충성심을 가진 고객들을 만들어내는 것이 중요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