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튜브
-
온라인 상에서의 60초, 그 안에 무슨일들이 일어날까?웹과 IT 서비스 2011. 8. 31. 15:55
웹의 태동 이후, 닷컴 버블 이후 많은 서비스들이 생겨나고 사라졌죠. 그중에 아직도 살아남아 있는 몇몇 서비스들이 있지만 2006년 이후 급변하는 전세계 온라인 트렌드의 변화에 새롭게 자리를 잡아 현재까지 그 명맥을 유지해오고 있는 것도 있습니다. 잠시 살펴보면 하루에 눈을 떠서 눈을 감을때까지 웹을 포기하고 산다거나, 서비스를 놓고 산다거나 할수는 없는 시대가 왔다고 생각합니다. 스마트폰을 사용하면서 잠시 놓치는 정보도 아까울 정도로 모두 스크랩하고, 1분 1초가 아까워서 뭐라고 더 적어보고 사진도 찍고 공유하는 모습들을 통해서 내가 생산하고 남들도 어떻게 콘텐츠를 소비하는지 궁금해 하는 때가 있는데요 마침, 온라인 콘텐츠를 소비하는 전세계 사용자의 흐름을 "60초, 1분"에 한정지어서 각기의 데이터를..
-
현실을 위한 Social Media Reference 차원의 동영상 몇가지, 그리고 변화웹과 IT 서비스/소셜 Social 2011. 7. 18. 09:00
국내 사용자들의 흡수력은 대단했습니다. 그리고 아직도 그 수요도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구요. 단정지어서 말할 수 없지만 온라인에서 약 12시간 붙어 살다보면 그 모습이 각 채널별로 볼 수 있긴 합니다. 그만큼 국내 소셜 미디어 시장이 어느정도 성숙해져가고 있다라고 할 수 있는데요. 실제적으로 시장에서 활동하는 분들에게는 아직도 많은 것을 공부하고 이해해야 하는 과제가 있긴 합니다. 사용자들의 현 상태를 공부하고 경험하는 속도가 스피드(speed) 하게 진행된 만큼 그에 대한 기업/브랜드 차원의 입장 준비도 철저하게 해야 한다는 것이지요. 급성장한 만큼 그에 대한 준비가 부족했다는 것이지요. 이미 트위터, 페이스북, 링크드인, 유튜브, 플리커 이제는 구글 플러스(google+)까지 새로운 영역이 생긴만큼에..
-
국내 현실에 맞춘 소셜 미디어 마케팅이 필요하다- 2011년 상반기를 결산하며웹과 IT 서비스/소셜 Social 2011. 6. 22. 18:34
스마트 미디어라고 언급해도 무관할 정도로 매우 빠르게 달려온 소셜 미디어 시대. 웬만한 국내 유명 브랜드과 기업들에게 있어서 '소셜 미디어'는 당연하게 마케팅/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써 꼭 활용해야 할 당면과제로 간주되고 있다. 그만큼 마케팅 부서 또는 홍보 부서, 또는 영업 파트 조차 그 활용 여부를 두고 고심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렇다면, 왜 그렇게 소셜 미디어를 활용하려 애쓰는 것일까? 새로운 기회이자 대안으로 떠오른 소셜 미디어 비용대비 효율이라는 측면에서 소셜 미디어는 마케팅, 홍보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써 최적의 대안이 되었다. 국내에서는 2009년 11월경 KT(Ollekt)가 아이폰 국내 출시 관련 이슈를 트위터를 통해 대응하면서 기업들의 트위터 마케팅이 시작됐다. 뒤이어 블로그, 페이스북..
-
소셜 미디어의 넥스트, 소셜 미디어 (마케팅) 캠페인 내용 정리웹과 IT 서비스/소셜 Social 2011. 5. 8. 17:49
아무도 알려주지 않았던 소셜 미디어, Niche Communication 수단으로 시작해온 소셜 미디어가 이제는 그 범위를 좀 더 넓혀서 개인 중심에서 기업 중심, 그리고 정부와 Mass Media 방향으로 급 이동하고 있습니다. 블로그가 그 기원을 가지고 있는 소셜 미디어는 트위터와 페이스북, 그리고 그 다음의 플랫폼이 어떤 것으로 변하느냐에 방향이 달라질텐데요. 요즘 다시 블로그 르네상스라 말하게 되는 블로그 부활의 조짐이 조금씩 보이고 있는 이때에 소셜 미디어의 넥스트 스텝(Next Step)인 "소셜 미디어 (마케팅) 캠페인"이 부각되고 있습니다. 2010년 Old Spice 사례를 시작으로 일련의 커뮤니케이션 사례가 발전해오고 있으며, 해외에서 그 일련의 사례들을 코카콜라, 펩시, 폭스바겐과 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