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
-
피로감을 느낀 소셜 네트워크 임팩트, 파생적 효과를 생각하자웹과 IT 서비스/소셜 Social 2011. 12. 21. 09:06
2011년 10월말, 한국방송통신위원회가 밝힌 국내 스마트폰 사용자는 2천만을 넘어섰다는 공식적인 통계를 통해 과히 빠른 속도로 증가세를 보여주었다. 2009년 11월, KT에서의 아이폰 도입 결정이후(47만 사용자 확보) 약 2년여만의 놀라운 성과다. 그 중심에는 제조사들의 R&D 투자/연구와 함께 보급에 힘썼던 것들, 그리고 애플의 아이폰이 주는 '아이폰 효과'가 매우 크게 작용했을 것이다. 길거리를 돌아다녀봐도 스마트폰에 인색할 것만 같았던 여성 사용자부터, 초등학생 마저, 또한 나이드신 어르신 분들까지 스마트폰을 손에 들고 많은 행동 들을 보여주고 있다. 급속하게 인프라가 펼쳐지면서 병행된 소셜 네트워크/미디어의 역량은 매우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1인 1미디어 체계로 불리울 정도로 트위터와 페이..
-
모토로라 레이저, 아이스크림 샌드위치가 아닌 안드로이드 2.3으로 출시떠들어볼만한 얘기 2011. 10. 19. 16:51
10월 19일, 홍콩에서는 안드로이드 4.0 인 아이스크림 샌드위치(ICS)를 탑재한 갤럭시 넥서스(Galaxy Nexus)가 출시 되었다면 미주에서는 구글에서 인수한 모토로라 모빌리티 파트의 첫 작품인 "모토로라 (드로이드) 레이저"가 세상에 빛을 보았습니다. 갤럭시 라인업이라는 이슈가 있어서 조금은 소외될 것 같은 '모토로라 (드로이드) 레이저(Motorola Razr)' 7.1mm 라는 최소 두께의 디바이스로 불리는 강점과 함께 미주에서는 통신사 버라이즌을 시작으로 4G LTE를 지원하는 통신 밴드를 지원한다고 하네요. 하지만 국내에서는 SKT와 KT를 통해서 3G 만 지원한다고 하여 이점은 조금 아쉬운 점이 있네요. 기존 레이저의 아성을 잇는 금번 '레이저' 네이밍, 너무나 호감이 갑니다. 그렇게..
-
업무 환경/스타일의 변화, 모바일(Mobile)로 적극적인 이동!떠들어볼만한 얘기 2011. 8. 12. 10:43
불과 몇년 전만해도 휴대전화는 오직 음성통화를 위한 목적으로 활용되었지만, 전세계의 스마트폰 트렌드에 맞춰 모바일로 정의되는 휴대전화 영역은 매우 다르게 변화가 되었지요. 즉, 모바일/휴대전화로 정의되는 스마트폰은 일상생활은 물론 직장생활에서 유용한 업무 수단으로 변했다는 것입니다. 우선 해외의 자료를 통해서 언급하지만, 이미 오피스/작업 공간을 벗어나 모바일로 작업 환경은 매우 달라졌다는 것이지요. 아래의 인포그라픽을 보게 되면 많은 썰들을 풀기보다 중요한 요점만 정리해보겠습니다. 모바일을 통해서 업무 환경 자체는 전환되었다. 그리고 업무 환경으로 인한 시공간 제약은 이미 무너진지 오래되었고, 기업들의 산출물들은 이동하고 있을때 나오고 있다는 것! 그렇다면, 이러한 흐름의 변화에는 무엇이 작용하고 있는..
-
내가 먹은 음식 사진, 전략적 자랑질을 위한 몇가지 비결 - 리서치 결과웹과 IT 서비스/소셜 Social 2011. 5. 12. 08:30
디지털 카메라의 변화, 플리커 서비스 등장으로 카메라에 대한 EXIF만 보면 무엇이 인기있나 한눈에 알았었는데요. iPhone 런칭 이후 기존 필름카메라, DSLR, 콤팩트 카메라의 결과물이 부쩍이나 줄었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iPhone을 비롯한 스마트폰 런칭 이후에는 어떠한 사진들이 인기를 얻었을까요? 아주 어여쁜 언니/누나 사진들도 있겠고, 거리의 길거리 풍경이나, 잘차려입은 패션 사진들도 있을텐데요. 그중에 바로 식생활과 관련된 음식 사진들이 대부분을 차지할 수도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페이스북/미투데이에 점심/저녁 식사나 외식을 할때 먹거리 인증샷을 찍어 올려놓곤 하는데, 배고픈 친구들의 널널하고 작렬한 댓글들과 액션들을 볼 수 있습니다. 미국인들은 참 이런 자료 잘 만드는 것 보면, 리서치 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