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셜네트워크
-
국내 금융권, 소셜에 발 담그기 시작! ... 활용 범주가 확대되고 있다.웹과 IT 서비스/소셜 Social 2010. 5. 27. 17:56
미디어의 변화가 21세기 들어서 큰 화제가 되었고, 그 이후에 IT산업 발전으로 굵직굵직했던 이슈, 한국에서는 전세계(미국발) 금융 위기 이후 떠오른 이슈는 바로 소셜 미디어/네트워크 였는데요. 그러한 변화에는 바로 스마트폰의 일시적인 보급과 동시에 트위터 및 미투데이, 그리고 현재는 국내에서 큰 변화를 가져오지 못하고는 있지만 전세계에서 화제가 되고 있는 페이스북까지. 다양한 매체 및 채널이 발전해가면서 그러한 채널과 매체를 활용하려는 산업군의 변화가 눈에 띄게, 하루가 바뀌고 아침이 밝아오면 새로운 이슈들이 터지는게 요즘입니다. 어떻게 어찌보면 우리들의 일상에서 IT와 정보, 그리고 매체는 서로 분리해서 볼 수 없는 "관계(Relation)"과 같은데요. 여기서 주목해야 하는 것은 바로 산업에서의 소..
-
[기고글] 소셜 게임, 소셜 네트워크와 미디어가 허물지 못한 벽을 없애기 시작하다.웹과 IT 서비스/소셜 Social 2010. 5. 6. 16:29
(iPhone Game Application, We Rule – ngmoco, Inc.) 하루 일과를 마무리하고 잠자리에 들기 전에 꼭 해야 하는 것이 `한가지’ 생겼다. 일기를 쓰는 것도 아니고 책의 몇 페이지를 읽는 습관도 아닌 `수확’을 하고 `아르바이트’를 찾아야 잠자리에 편하게 잠드는 새로운 일과가 생긴 것이다. 농사꾼이 된 것도 아니고, 일자리가 없어서 구인광고를 들춰보는 것도 아니다. 바로 소셜 게임(Social Game)의 일종인 “We Rule(위룰)”에 빠져든 요즘의 일상의 한 부분입니다. 단순히 말하면, 자신만의 소박한 왕국에서 밭 농사를 시작으로 옥수수 농사, 양파, 감자도 키우고, 옷가게도 만들어 친구에게 아르바이트 자리도 제공하는 훈훈한 인심을 선보이면서 게임(Game)의 주인공..
-
누군가에게는 꼭 필요한 소셜미디어 관련 도서, 시간 좀 냅시다!서평_북스타일+영화 2010. 5. 4. 21:11
시간 없어 책 못읽는다는 핑계! 많이 들어봤을겁니다. 아마, 지금도 출퇴근 길이나 주말에 시간이 많이 나는 때에 책 읽을 시간, 독서 및 문화 생활이 없다고 핑계 아닌 핑계를 말하는 분들이 많이 있으실텐데요. 최근에 저 또한 그렇게 저 스스로 반성하게 되네요. 쌓아놓은 책들과 주어진 시간, 하루 24시간을 다 못채워 사는 사람과 다 채워서 사는 사람들 중 누가 승자라고 해야 하는지는 두고 봐야 알겠지만 쌓아놓은 책을 24시간 내에 모두 읽는 승자가 진정한 Winner가 되지 않을까요? 업종을 바꾸고, 업무를 바꾸면서 최근 집중력을 발휘하고 있습니다. 어떻게 보면 일에 집중하다보니 책도 못읽고, 피곤해서 책 한장 넘길 여유도 없다 말하겠지요. 저는 그렇게 수긍하렵니다. 그래서 결론 짓게 되네요. "시간 좀..
-
오바마 행정부, 소셜 미디어의 기술적 활용 가이드 라인 배포 - 국민과 소통하라!웹과 IT 서비스/소셜 Social 2010. 4. 18. 23:44
Blue State Digital(BSD, 블루 디지털 정부), 미국 오바마 행정부가 생기기 이전인 2004년도 부터 수많은 공동체가 함께 단일화 되어 지구내 환경 및 디지털로 통합되는 일련의 프로젝트를 오바마를 중심으로 실행이 되었고, 오바마 정부 출범과 함께 실현이 되고 있었습니다. 말뿐인 행정적 이슈 전파보다는 보다 빠른 프로세스와 모든 국민들과 정부의 정책들을 투명하게 공유할지 여부를 고심하던차, 미국내에서도 이슈가 되고 있었던 소셜 미디어 및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미국 행정부의 뜻을 BSD에 실어 점차 실현하게 된 것이죠. 그 속에 바로 Office of Management and Budget Program(http://www.whitehouse.gov/omb/)을 통해서 정부가 하는 일에 대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