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대 주요 소셜 플랫폼 중, 과연 한국 사용자들은 어느쪽에 손을 들어줄까?웹과 IT 서비스/소셜 Social 2011. 9. 6. 22:02
2011년 초반까지만 해도 Facebook이 다양한 플랫폼을 제치고 무한한 가능성과 성장세를 이룰 것이라 모두가 단정지었지만, 이제는 이야기가 달라졌지요. Google+ 가 출현을 하게 되면서 더욱 큰 플랫폼 경쟁을 하게 된 것인데요. 아직까지 개인적인 입장에서는 Facebook에 손이 가고 Twitter와 Youtube, 그리고 blog 순으로 접하게 되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일련의 입장에서 봤을때, Google+ 가 또 다른 대안이나 지금까지 나왔던 플랫폼에서 하지 못했던 것을 소화시켜줄것이라 말을 하곤 하는데요. 우선 두고 봐야 하는 문제이구요. RSS 피드를 보다가 재미난 인포그라픽이 있어서 혼자만 두고 볼 수가 없어 몇가지 내용으로 요약정리 해봅니다.(국내 사용자들에게는 아직까지 싸이월드의 기..
-
Mashable Follow, 소셜 미디어 뉴스를 유통하는 방식의 변화 - Social Layer웹과 IT 서비스/소셜 Social 2011. 3. 31. 20:42
하나둘씩 서비스의 방향이 바뀌어가고 있는 2011년 입니다. 국내 중심의 소셜 서비스들이 많이 나오고 있지는 않지만 해외의 유사 서비스들을 모방하여 변화하는 작업들이 한창입니다. 그만큼 "소셜"이라는 키워드가 얼마나 갈지는 알수는 없으나 너도나도 "소셜"을 서비스와 미디어에 접목시키기 위해 아둥바둥 하는 모습이 역력합니다. 그 와중에도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으로 현재의 시장을 돌파하는 시도들이 보입니다. 이미 2005년부터 미국내 소셜 미디어 뉴스를 다루는 Mashable이 나오면서 해외의 소셜 시장에 대한 소식들을 유통하는 미디어 업체들이 속속 나오고 시작했지요. 2011년 Mashable이 좀 더 발전된 정보를 공급하겠다는 야심한 계획(?)을 내놓으면서 조심스럽게 Mashable Follow라는 Beta..
-
LinkedIN이 당신의 네트워크를 비쥬얼하게 보여드려요.웹과 IT 서비스/소셜 Social 2011. 2. 3. 12:01
해외의 소셜 인맥 서비스라고 해야 할까요? 소셜화 서비스의 대표적인 케이스인 링크드인(LinkedIN)이 재미난 부가 서비스를 잠깐 공개했는데요. 일전에 트위터 아이디로 자신의 팔로워들과의 네트워크를 선 중심의 인포그라픽으로 만든 케이스 기억 나시죠? 그러한 사례를 LinkedIN계정으로 다양한 색채와 선으로 보여주는 "LinkedIN Maps"를 제공하기 시작했습니다. 본인의 LinkedIN 네트워크를 시각화 한다는 것. 그리고 색깔별로 네트워크를 영역화 한다는 것이 가장 중요한 기능인데요. 어려운 것은 없고 LinkedIN 계정으로 로그인만 하면 됩니다. 물론 관련 네트워크 결과물을 페이스북과 트위터로 공유가 가능합니다. 관련 출처 : http://bit.ly/fW7dEk (inmaps, View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