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셜 미디어
-
[인포그라픽] 인재 채용에 있어 소셜 미디어 채널의 가치, 얼마나 효과가 있으며 활용되고 있나?웹과 IT 서비스/소셜 Social 2012. 9. 7. 15:08
하반기 공채 및 경력직 채용 시즌이 시작되었습니다. 더군나나 요즘은 채용 방식이 다양하게 바뀌면서 신입 대졸자 채용 조건도 만만치 않다고 하는데요. 소셜 비즈니스 시장에서 2년 이상 몸담고 있다보니 저도 어느새 이력서 상에 어떠한 소셜 미디어 채널 활동을 하고 있고 과거 어떠한 '콘텐츠'를 생산하고 있었는지 그 이력이 궁금해지더군요.사실 저도 이전의 회사였던 '소셜링크'에도 '블로그'를 꾸준히 했었던 것이 어느정도의 Benefit이 되어 갔었던 경험에 비춰봤을때, 웹 2.0 시대 이후로 가장 필요한 부분이 본인의 Social Reputation이 중요하게 생각되더라구요. 개인의 콘텐츠 생산 경험은 어느 분야에 가서든 '스토리텔링' 이 가능해질 수 있는 환경에 적응하는 중요한 디딤돌이 된다는 것. 몸소 체..
-
[인포그라픽] 소셜 영향력 지표, 클라우트 Klout 를 말해본다 - 내 영향력 지표는 얼만큼?웹과 IT 서비스/소셜 Social 2012. 7. 13. 07:30
최근 재미난 서비스 하나가 첫선을 보였지요. 일명 인플루언서, 쉽게 말하면 온라인 영향력 지표를 스코어(점수화) 하여 보는 주는 서비스인데요. 바로 소셜 클라스(socialKlass) 입니다. 아직까지는 페이스북 계정 연동으로 인해서 페이스북의 활동 히스토리를 점수화 하여 보여주는 것에 그치고 있기는 합니다. 점수 메트릭스에 대한 의문이 조금 들기는 하지만 해외의 모델인 클라우트(Klout)를 한글화 하여 한국 사정에 맞춰 만든 정성을 최대한 발휘했다고만 표현하고 싶습니다. 아직도 전세계 어디든지 '인플루언서' 마케팅을 심도있게 실현한 기업도 없고 사례도 없지요. 몇몇 곳에서 온라인 영향력자라 하여 블로거 관계 프로그램이 가장 기본적인 영향력자를 활용한 관계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활용될 뿐입니다. 그만큼 ..
-
[인포그라픽] 핀터레스트와 페이스북, 우리가 알 수 있는 5가지들 - 효과 측정 기준에서 바라보다떠들어볼만한 얘기 2012. 6. 25. 09:47
요근래 소셜 분석(네트워크, SNA) 공부를 하면서 소셜 미디어 채널 효과 측정(Social Measurement) 에 대한 개념 이론도 겸사겸사 보고 있습니다. 그러던 와중에 현재 한창 인기를 받고 있는 버티컬 서비스 핀터레스트와 페이스북 간의 동일 기간 내 얻을 수 있었던 효과에 대한 해당 인포그라픽이 있어서 잠시 소개만 하고 넘어가려 합니다.과연 핀터레스트를 통해서 얼마나 효과를 얻을 수 있을지? 그렇다면, 페이스북으로부터 유입은 얼마나 되고 페이스북을 통해서 핀터레스트와 얼마나 차이가 나는지에 대한 내용을 보면 참 의미있는 다음 과정을 예상해볼 수 있을 텐데요. 찬찬히 한가지씩 살펴보도록 하지요.인포그라픽에서 풀어낸 5가지 내용은 이렇습니다. (우리가 알 수 있는 5가지 Factor)하나. 핀터레..
-
[인포그라픽] 구글 플러스와 페이스북, 이젠 환경자체가 달려졌다 - 재미난 인포그라픽떠들어볼만한 얘기 2012. 6. 20. 09:27
개인적으로는 트위터와 페이스북, 그리고 구글 플러스와 미투데이, 블로그 까지 하는 멀티 유저입니다. 하지만 5가지 채널을 모두 사용하시는 분은 많지 않다는 것이지요. 한개 채널 활용하는 것도 어려운데, 어떻게 5개 채널을 다 이용하냐 라고 되물으시는 분들에게는 핀터레스트와 팬시(Fancy)까지 한다고 덧붙여 말하곤 합니다. 그만큼 한가지만으로 만족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지요.되려, 구글 플러스와 페이스북만 열심히 하고 계시는 사용자 분들을 보고 있으면 차이점을 물어봅니다. 10명중 9명은 완전 사용패턴도 다르고 업데이트 되는 콘텐츠에도 차이가 있다고 하죠. 맞습니다. 완전 이제는 생태계의 환경 자체가 달라졌고. 구글 플러스가 나온지 이제 만 1년이 되어가는 시점에서 남탕이니 여탕이니 하는 우스겟 소리마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