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ration
-
국내 콘텐츠 큐레이션 서비스인 인터레스트미, 변화 예고 - 뜻 밖의 경험으로웹과 IT 서비스/소셜 Social 2013. 5. 6. 08:00
국내에서 유일한(?) 큐레이션 서비스의 대표 모델이라고 해도 무방한 '인터레스트.미(CJ E&M)'이 또다른 모습을 준비하고 있나봅니다. 돌아오는 5월 7일, 숫자상으로 어떠한 의미가 있을지는 모르나 '뜻 밖의 경험으로'라는 메시지를 내걸로 UI/UX의 변화를 진행하는 것 같은데요.우선 티저이미지에서 보여지는 명쾌함은 핀터레스트(Pinterest)가 가지고 있던 직사각형 콘텐츠 배치했던 것을 그대로 옮겨왔다던 이야기를 뛰어넘는 새로운 형태로 콘텐츠를 보여주게끔하고, 보다 직관적으로 보여주고자 하는 콘텐츠 배치를 채용하는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인터레스트.미' 만의 특별함을 보여주겠다는 의미이겠지요? 우선 변화되는 모습은 재미난것 같습니다. 기본 콘텐츠 예시보기 형태는 정사각형, 하지만 콘텐츠 열람시에는..
-
핀터레스트, 새롭게 옷을 갈아입고 있는 중 - 큐레이션의 편리함을 위해 새로운 네비게이션과 더욱 커진 이미지 보기 지원웹과 IT 서비스/소셜 Social 2013. 1. 31. 17:54
2012년 연말로 약 3천만 유저를 끌어안게된 핀터레스트가 서비스 오픈 이후 약 2년만에 새로운 얼굴로 바뀌어질 준비를 한다고 합니다. 더욱 커진 캔버스에, 더욱 빠르게 로딩되는 이미지을을 볼 수 있는 서비스로의 전환이라고 외신은 말하고 있는데요.실제로 아직 접해보지는 않았지만, 공통적으로 알려진 핀터레스트의 새로운 모습(New Look)은 좀 더 사용자 중심에 연관 이미지 콘텐츠를 보여주기에 충분한 구조로 바뀐 것 같습니다.위와 아래의 이미지는 현재의 핀터레스트 기존 UI 인데요. 버티컬 형태로 이미지들이 배치되어 있는 형태, 그리고 상세 이미지를 봤을때, 단일 이미지에 대한 보기와 해당 Follow 카테고리, Like하거나 Repin 한 사용자들을 보여주고 있는 모습입니다. 처음에 봤을때는 소셜 큐레..
-
[기고글] 이미지 기반의 서비스와 모바일 생태계, 그리고 서브스크립션 커머스로의 발전 - 핀터레스트 & 소셜 큐레이션(SKT Inside 5월호/3편)웹과 IT 서비스/소셜 Social 2012. 5. 7. 07:00
지난주의 1편과 2편에 최종적으로 정리되는 마지막 3편의 내용입니다. 소셜 큐레이션 서비스는 일반 사용자에게 있어서 콘텐츠 필터, 구독의 개념을 안고 있는데요. 이제는 상품 서비스, 구매와도 매우 연결지을 수 있는 점은 서브스크립션 커머스(최근 각광 받는 새로운 파생 커머스 사업이 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지요)와 이미지 기반 서비스가 어떻게 모바일 생태계와 맞물려 발전할 수 있을지 예측 가능할 것 같습니다. 아래의 마지막 3편을 통해서 미래를 잠시 생각해보시죠. 5월달 SKTelecom Inside 사내보에 실리는 글의 전문은 매우 간략하게 줄여져 있습니다. 마지막 3편을 하기와 같이 전문을 공유해봅니다. --- 이미지 기반의 서비스가 자리잡으면 모바일 생태계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이제는 다시 웹과 모바일로..
-
[기고글] 왜 핀터레스트와 같은 이미지 기반 서비스가 부각되고 있는가? - 핀터레스트 & 소셜 큐레이션(SKT Inside 5월호/2편)웹과 IT 서비스/소셜 Social 2012. 5. 4. 07:00
어제의 1편에 이어 2편은 ... 내용이 계속 이어지게 되는데요. 본격적으로 왜 핀터레스트와 같은 버티컬 서비스(Vertical Service)가 부각되고 있는지? 그리고, 국내 기업들이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몇가지 Tactic 들을 정리해보았습니다. 몇몇 블로거 분들의 의견을 종합했다고 해도 무방한데요(워낙 내용이 길어서 부담이 되어 타 블로거 분들의 의견을 인용했는데요. 종합적으로 보시면 될것 같네요) 5월달 SKTelecom Inside 사내보에 실리는 글의 전문은 매우 간략하게 줄여져 있습니다. 본연의 글은 3편에서 마지막에 추가하는 방식으로 공유하도록 하구요. 그럼 2편을 읽어보실까요?---왜 핀터레스트와 같은 이미지 기반 서비스가 부각되고 있는가?콘텐츠를 유통 - 소비 하기위해서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