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립식펀드
-
직장인의 재테크 수단은 이미 펀드로 본격적으로 넘어왔다떠들어볼만한 얘기 2007. 10. 28. 21:20
작년까지만 해도 예금위주의 직장인 재테크 수단을 나타내는 여러가지 기사들이 나왔으나, 이제는 현실적인 입장에서의 직장인들 시각이 달라지고 있습니다. 그것은 바로"저축에서 펀드로의 이동" 입니다. 여러분이 생각하시는, 최고의 수익성을 낳는 황금알(?)은 무엇입니까? 저 또한 현재가 첫 직장이지만, 첫 직장을 시작하는 순간보다 청약부금 빼고는 모두가 펀드로 재테크 수단을 유지해온 것 같습니다. (그렇다고 펀드가 계속 누적되어 100% 이상의 수익을 보지 못했습니다. 중간에 쪼금씩 환매하면서 까먹은 금액도 꽤 있으니 말입니다.) 기사의 일부 내용을 아래에 발췌 해본다면 다음과 같습니다. 38.9%로 가장 높은 비중을 보인 재테크 수단은 역시 ▶저축이었다. ▶보험이 21.4%로 뒤를 이었고, ▶펀드도 17.3%..
-
증시 불안과 바뀌는 펀드 투자 및 재테크 풍속도(2)Marketing+ 2007. 8. 17. 16:23
서울경제: 증식 혼동시대, 펀드 수익률관리 어떻게? 글로벌 증시가 동반 폭락하면서 국내외 펀드 수익률에도 비상이 걸렸다. 특히 국내 주식형 펀드보다는 해외 주식형 펀드의 손실이 커지고 있어 연초에 급격하게 증가했던 해외 펀드 가입자들의 근심이 더 커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적립식 투자자들은 지금이 오히려 더 좋은 기회지만 거치식 투자자의 경우 일부 이익실현 환매도 검토할 것을 권했다. ★국내보다 해외, 신흥시장보다 선진국이 부진 16일 자산운용업계에 따르면 전세계 증시 조정 가운데서도 국내보다는 해외 펀드가, 신흥시장보다는 선진국 펀드의 수익률이 더 부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글로벌 증시의 동반 폭락을 야기했던 서브프라임 모기지 부실이 선진국을 중심으로 확산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펀드평가사..
-
증권사 임원 앞다퉈 주식처분, 이건 조정 신호?떠들어볼만한 얘기/소소한 이야기 2007. 7. 27. 00:12
증권사 임원 앞다퉈 주식처분, 이건 조정 신호? 증권주는 화끈하다. 시장이 상승하면 급등하고, 하락하면 더 급락하는 특징을 갖고 있다. 그만큼 시장 변화에 따라 변동성이 심하다. 그래서 `증시의 바로미터'라는 얘기도 있다. 요즘 증권사 경영진이 앞다퉈 주식을 팔고 있어 본격적인 조정이 임박한 것 아니냐는 예측이 나돌고 있다. 증권선물거래소 공시에 따르면 부국증권은 25일 제출한 `최대주주 등 소유 주식 변동 신고서'를 통해 소속 감사가 23일 자사주 2400주 중 1000주를 장내 처분했다고 밝혔다. 삼성증권 역시 전무급 인사가 보유 주식 1만4594주 가운데 3200주를 19, 20일 팔았다. 서울증권의 계열사인 서울자산운용의 상무급 임원도 20일 서울증권 주식 27만1464주 중 15만주를 처분했다...
-
펀드 환매의 유혹에 빠질때 5가지 체크포인트떠들어볼만한 얘기/소소한 이야기 2007. 7. 19. 17:18
지난 4월 주가가 1500을 넘어서며 수조 원 규모 대량 환매가 몰렸을 때도 버텨냈던 펀드투자자들이 요즘 고민에 빠졌다. 신문사로 전화를 걸어온 한 투자자는 "환매하고 싶어 몸이 근질거려 미치겠다"고 토로할 정도다. 누가 봐도 급하게 오른 코스피지수. 모두 "다가올 조정을 준비하라"는 조언을 한다. 그러고 보니 내 펀드수익률도 어느덧 40%가 훌쩍 넘어버렸다. 정말 환매를 통해 수익을 실현하고 기다릴 타이밍인 것 같기도 하다. '장기 투자가 최고'라는 것을 알지만 강력한 환매 욕구를 거부할 수 없는 펀드투자자들을 위해 5가지 체크포인트를 제시한다. 일종의 환매 자가진단법이다. 혹시 "향후 어떤 급등장이 와도 연 30% 수익률이면 더 이상 바랄 게 없다"는 투자자라면 일단 환매하고 내년 이맘때까지 편한 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