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빈곤한 만찬 - 인류가 인류의 먹거리를 바꿔놓다서평_북스타일+영화 2009. 4. 2. 00:27<빈곤한 만찬>은 그동안 생명공학 기업들이 애써 감추어왔던 심각한 현실을 낱낱이 펼쳐 드러낸다.
스스로 비만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의사 등 주변사람들로부터 조언을 구할 때 흔히 듣는 얘기다.
실제 많은 사람이 이를 실천하는데도 살은 빠지지 않고 건강은 오히려 악화하면 이를 어떻게 설명해야 할까?
이같은 의문을 품은 이는 프랑스의 농공학자이자 올바른 먹을거리를 위한 소비자단체 '청백심장소비자조합'의 대표이기도 한 피에르 베일의 <빈곤한 만찬>에서 해답을 얻을 수 있다.
먹을거리로 장난을 치는 세상, 믿고 먹을 수 있는 게 없다. 가공식품의 재료는 `눈 가리고 아웅'이고, 손맛을 기대한 식당에서는 갖은 조미료에 배신감을 안고 돌아오기 일쑤다.
이렇듯 허울만 좋은 우리의 식탁에 경종을 울리는 책이다. 우리가 먹는 것들이 만찬이되 왜 빈곤할 수밖에 없는지를 과학적 근거를 들어 풀이해 나간다. 저자 피에르 베일은 이야기를 풀기에 앞서 세 여인을 소개한다. 루시, 룰루, 릴리라는 추상적인 인물을 설정하고 논리적으로 이야기를 꾸려나가고 있다. 루시는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즉 선사시대 여인이다. 룰루는 농경시대를 살고 있고, 릴리는 커리어우먼이자 오늘날의 음식 소비자다.
각각 이들의 식탁을 비교함으로써 음식환경이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 왜 그렇게 됐는지 설명한다.
들판을 일구는 할아버지의 손이 손자의 비만을 좌우한다.
-부모가 아무 거나 먹는 사이에 아이는 뚱보가 되어버린다.
또한 식품을 논할 때도 `이것은 좋고 이것은 나쁘다'라는 흑백논리는 위험하다고 말한다. 그 예가 콜레스테롤이다.
오늘날 콜레스테롤은 식탐이라는 원죄가 낳은 `공공의 적'으로 취급되고 있다. 하지만 책에 따르면 이는 잘못된 상식이다.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와 빨리 사망할 위험 사이에 관계가 있기는 하지만 반대로 콜레스테롤 농도를 낮췄을 때 심장병 사망률이 준다는 연구는 이제껏 없었다고 한다. 즉 콜레스테롤 자체가 나쁜 것이 아니라 그것을 과하게 섭취하는 우리의 식생활이 문제였던 것이다. 그리고 동물성지방이 죄인 취급을 받고 식물성지방이 식탁에 올랐지만 실은 그 속에 포함된 트랜스지방산이 더 나쁘다는 사실, 이는 영양에 있어서 만큼은 절대 유행을 좇지 말아야 함을 일깨워준다.
그리고 한 번쯤은 들어봤음직한 `오메가 3', `오메가 6'에 관한 이야기는 책의 부분마다 빠짐없이 등장한다.
`오메가 3'는 지방의 합성과 이동을 억제하고 `오메가 6'는 반대로 지방세포 수를 늘리는 역할을 한다. 오메가3는 우울증에서부터 알츠하이머, 암에 이르기까지 대부분의 병에 효험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이는 우리가 오메가3를 제대로 섭취하지 못했기 때문에 모든 질병에 효험이 있는 것처럼 느끼는 것이라고 한다. 이 둘의 균형을 맞추는 것이 중요한데 왜곡되지 않은 먹이사슬을 되찾으라고 저자는 경고한다.
<빈곤한 만찬>을 펼치기에 앞서, 책의 뒤편에 있는 에필로그(페이지 311 ~ 329)를 통해서 이 책이 어떻게 완성되어 갔는지를 살펴보는 곰꼼함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결국 에필로그를 통해서 앞쪽의 모든 내용들을 뒷받침 해줄수 있는 사실적인 근거 및 배경이 표현될 수 있는 논리가 나타나 있다. - 서평 작성자의 변 -
유해성이 검증되지 않은 유전자 조작식품(Genetically Modified Organism)을 주제로 한 `먹지 마세요 GMO'는 유전자 조작 식품이 만들어지는 과정의 불확실성과 소비자가 GMO를 피할 수 있는 방법을 자세하게 알려준다. 즉, GMO를 만드는 과정이 결코 과학적이지 않다고 주장한다. 유전자 조작을 위해 물고기의 유전자를 토마토에 집어넣기도 하고 사람의 유전자를 담배에 집어넣기도 한다. 이러한 과정은 인간에게 치명적인 알레르기를 유발시킬 수도 있다. 복제양 돌리 한 마리의 탄생 뒤에는 260마리의 기형 돌리들이 있다는 사실을 지적하면서 GMO속에는 어떤 기형적인 속성이 들어있는지 알 수 없다고 말한다. 안정성 실험이 여전히 진행 중인데도 GMO농산물이 판매되는 것은 인간들을 실험용 쥐인 `모르모트'로 여기고 있는 사례라고 저자들은 분노한다.
저자는 책에서 영양학적인 관점에서 인간의 역사를 통해 과거와 달라진 `무엇'만을 확인해도 이 같은 의문을 해소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피에르 베일은 이 같은 현상은 선사시대와 달라진 것이 없는 `나이 든 유전자'와 `새로운 음식물' 사이의 `세대차'가 원인이라고 말한다. 선사시대와 산업시대 이전의 인류는 어려운 때를 대비해 가능한 한 영양소를 비축해 두려는 유전자를 지녀 왔고, 언제나 풍부한 음식을 구할 수 있는 현대사회에 와서도 그 유전자는 그대로이다.
그러나 현대인은 사냥하고 농사짓는 활동 대신 대형 마트에 가서 손쉽게 음식을 구하고 간단히 조리를 해먹을 수 있으며, 그 음식에는 필요한 양보다 과도하게 많은 영양소가 들어 있는 것이다.
<오메가 3 와 오메가 6 에 대한 뜨거운 논쟁>
베일이 지적하는 불균형의 문제는 `오메가 6'와 `오메가 3'의 비율. 즉, 남는 지방을 비축하는 역할을 하는 `오메가 6'와 남는 지방을 연소하는 `오메가 3'의 이상적인 비율은 5 대 1이지만, 현대인은 `오메가 6'를 `오메가 3'보다 평균 20배나 더 섭취하고 있다는 것이다. (오메가 6 > 오메가 3)
극히 놀라운 것은 `오메가 3'와 관련한 신화가 있다는 것. 지중해 지역 중에서도 특히 크레타섬 주민들은 심혈관질환 발병이 낮고 장수하는데 그 핵심적 이유가 `오메가 3'가 풍부한 식습관에 있다는 연구가 잇따라 발표됐다. `오메가 3'는 지방을 연소시키는 세포전달물질을 만들어내는 지방산으로, 사실은 반대작용을 하는 `오메가 6'와 `오메가 3'의 적절한 균형을 갖추는 것이 중요하다.
통상 `오메가 3'가 많은 식품은 달걀, 어류, 육류 등이지만 이런 식품들을 무작정 많이 먹는다고 해결되지 않는다. 옛날처럼 풀을 뜯어먹고 자란 가축, 양식되지 않고 해조류부터 새우까지 잡아먹는 어류만이 `오메가 3'를 함유하기 때문이다. (이상 <빈곤한 만찬> 지방의 연소와 비축 중에서 - `오메가 3'와 `오메가 6' - 페이지 151/152 )
결국, 우리의 밥상과 먹거리를 위해서는?
왜 현대인이 그렇게 쉽게 비만해지는지에 대해 <빈곤한 만찬>은 수백만년 전 살았던 인류의 조상 루시의 삶을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결론은 덜 먹고 많이 움직이고 다양하게 섭취하라는 뻔한 이야기처럼 보일지도 모른다. 그러나 아무리 많은 건강 정보를 금과옥조처럼 따르더라도 현대화된 축산과 공장식 식품가공으로는 한계가 있다. 진정 건강한 섭생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우리 사회가 식품을 생산하는 첫걸음부터 달라져야 하며, 소비자는 더욱 정교하게 따져야 한다고 베일은 주장하고 또한 역설하고 있다.
*<빈곤한 만찬>의 추천 Chapter: 3. 내일의 올바른 섭생을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한가? (페이지 239 ~ 309)
*각 대주제-소주제에 포함되어 있는 box tip을 잘 살펴보면, 식생활 습관에 유용한 도움말이 있다. 이를 통해서 미래를 위한 나만의 밥상 차림에 큰 디딤돌이 되지 않을까요?
동물성 지방은 먹지 마라
붉은 살코기 대신 어류 섭취를 늘려라
올리브유와 포도주를 즐겨 먹어라
빈곤한 만찬 카테고리 지은이 상세보기
북스타일의 새우깡소년. 감사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