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rvice
-
온라인 상에서의 60초, 그 안에 무슨일들이 일어날까?웹과 IT 서비스 2011. 8. 31. 15:55
웹의 태동 이후, 닷컴 버블 이후 많은 서비스들이 생겨나고 사라졌죠. 그중에 아직도 살아남아 있는 몇몇 서비스들이 있지만 2006년 이후 급변하는 전세계 온라인 트렌드의 변화에 새롭게 자리를 잡아 현재까지 그 명맥을 유지해오고 있는 것도 있습니다. 잠시 살펴보면 하루에 눈을 떠서 눈을 감을때까지 웹을 포기하고 산다거나, 서비스를 놓고 산다거나 할수는 없는 시대가 왔다고 생각합니다. 스마트폰을 사용하면서 잠시 놓치는 정보도 아까울 정도로 모두 스크랩하고, 1분 1초가 아까워서 뭐라고 더 적어보고 사진도 찍고 공유하는 모습들을 통해서 내가 생산하고 남들도 어떻게 콘텐츠를 소비하는지 궁금해 하는 때가 있는데요 마침, 온라인 콘텐츠를 소비하는 전세계 사용자의 흐름을 "60초, 1분"에 한정지어서 각기의 데이터를..
-
베스트 apps 및 service 를 평가하세요! the Crunchies 2008웹과 IT 서비스 2009. 1. 6. 13:09
The Crunchies Awards 2008. 한국 시각으로는 오늘 밤이 되겠네요. 샌프란시스코에서 개최되는 Crunchies Award에 후보작으로 오른 16개 부분 온라인 서비스 및 모바일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에 대한 투표가 진행되고 있네요. 한국 사용자들에게도 잘 알려진 Google Apps를 비롯한 Android 도 포함되어 있고, iPhone 3G는 Gadget 부분에 속해있습니다. Facebook이 많은 후보로 올라와있고 CEO에도 랭크되어있네요. 한번 참여해서 직접 한표씩 주세요! (새해에는 한국의 토종 서비스들도 링크 되었으면 하네요, 그건 그렇고 스폰서들이 빵빵 합니다.) 본 Vote는 아마도 한국 시각으로 오늘 저녁까지 진행될 것으로 보입니다. 벌써 26만명 이상이 참여를 했네..
-
한국 이동통신 시장 전망 분석 보고서 (2006~2010)웹과 IT 서비스 2007. 7. 5. 12:04
Market Forecast (2006~2010) ROA Group의 분석에 의하면 한국 이동통신 가입자수는 2006년 12월 말 기준으로 4,019만 명으로 예측된다. 현재 한국 이동통신 시장은 ‘Peak Point’에 도달했으며, 신규 수요보다는 새로운 service 출현에 따른 교체수요(Replacement)가 중심이 되고 있다. 2006년 이후 연평균 성장률은 0.86%로 매우 미미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러한 경향에 따라 2010년 한국 이동통신 가입자수는 4,195만 명으로 예측된다. 이는 한국 전체 인구 대비 보급률 85%에 해당하는 수치이다. 2006년 이통3사의 점유율은 2005년 말과 비슷한 수준인 SKT 51%, KTF 32%, LGT 17%로 예측되었다. 한편, 2006년 선불 가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