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NS
-
'태양의 후예'를 통해서 본 소셜 분석 서비스 '티버즈(TIBUZZ)' 핵심 기능과 장점 10가지웹과 IT 서비스/소셜 Social 2016. 3. 27. 22:17
2011년 부터 2012년, 그 시점에서의 트위터를 통한 소셜 분석 - 흔히들 말했던 '빅데이터 분석'이라는 단어가 너무나 흔했던 시점 - 은 과거의 이야기가 되었습니다. 하지만 지금은 그 어느 때보다 '소셜 분석'은 콘텐츠를 만드는 기획 단계 부터 콘텐츠 생성 이후 대화가 생성되고 대화의 변화 상황을 모니터링, 모니터링 이후의 대응 상황을 위해 중요해진 부분이 있습니다. 흔히들, '보이지 않는 행동'이라고 볼 수 있는 '소셜 분석' 활동이 된 것이지요.최근 중요한 체험기회를 얻게 되어, 메조미디어에서 기존에 서비스를 론칭했었던 소셜 분석 서비스 '티버즈(TiBuzz)'를 체험하게 되었습니다. 이전에 소셜 분석 서비스를 직접 운영 - 관리 - 리포팅 했던 때 이후 근 2~3년 만에 '소셜 분석' 툴을 만..
-
오가닉미디어 - 콘텐츠와 관계가 만들어낸 미디어의 새로운 대안서평_북스타일+영화 2014. 3. 19. 08:00
허핑턴포스트가 대한민국 온라인 뉴스 시장에 진출했습니다. 미국에서의 뉴스 생산 체계를 그대로 가져오는 대신, 대한민국 신문사의 뉴스 생산 시스템 형태에 외부의 다양한 글을 받아서 함께 싣는 형태의 모습을 띄고 있습니다. 블로그 저널리즘을 표방했고, 다양한 분야의 글을 받아들이는 허핑턴포스트 만의 색깔을 가져가는데에는 아직까지 시일이 걸릴 것이라 생각됩니다. 유명인들의 글들만이 즐비하며 아직까지는 완성체가 되지 못한 것이지요. 말 그대로 ‘허핑턴포스트 코리아’도 변해야 할 겁니다. 미디어는 변하고 있습니다. 기존 4대 매체의 영향력은 소셜 미디어 덕분에 좌지우지 되어가고 있고, 미국시장에서는 오히려 소셜 미디어 보다 TV를 신뢰한다는 조사 결과까지 다시 나오고 있습니다. 이미 국내에서도 미디어 2.0 이라..
-
Reply : 나를 분리한다는 것 - (SNS로 인해) 좀 더 깊은 생각이 필요하다웹과 IT 서비스/소셜 Social 2013. 5. 29. 14:30
벌써 여름입니다. 2013년도 2분의 1이 지나가고 있다는 건데요. 그만큼 올해도 역시나 빠르게 지나갑니다. 항상 느끼는 것이지만 작년과 올해는 매우 다른것 같습니다. 개인적으로 하고 있는 일도 달라지고 있고, 포지션도 달라져서 하는 일의 깊이와 넓이가 달라지는 것 같아서 항상 마음만 크게 먹고 실천하는 것들이 부족해지는 것은 매한가지로 같은 것 같습니다.그렇지요. 블로깅도 점점 뜸해지고 있고, 트위터도 부쩍 줄어들고, 페이스북에 집중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아마도 트렌드를 따라가나 봅니다. 최근에는 야후의 텀블러 인수 소식, 그 이전에는 마이스페이스의 리뉴얼 소식에 다양한 플랫폼과 서비스를 써가며 트렌드를 쫓아가는 '트렌드세터'가 된 느낌 마저 듭니다.이제 6월이 찾아오니 매년마다 열리는 WWDC 소식..
-
콘텐츠가 중요해지는 시대, 젋은 인재들에게 해주고 싶은 한마디 - 책은 말 없는 스승서평_북스타일+영화 2013. 5. 27. 08:00
일요일만 되면, 자연스럽게 노트북을 챙겨 자주 찾는 단골 S커피숍에 앉아 돌아오는 한 주의 업무를 준비한다. 어떻게 보면 특별한 날이 아닌 이상, 매주 찾아오는 일요일 – 1년이면 52번이 될 수도 있다 – 은 계획을 하고 책장을 놓는 법은 없다. 올해로 사회생활 9년차를 겪어오면서 스스로 몸에 체득한 책 읽기다. 하지만 책 읽기란 의무가 되어서는 안 된다. 자연스럽게 몸에 베어가는 과정의 연속이라 생각한다. 책을 통해서 멀리 본다면 본인의 지적 능력과 커리어, 가까운 시점의 위치에선 앞으로 일어날 일들을 위한 교양 또는 지식 수준이 될 수도 있다. 무엇이 어찌 되었던 필자는 대한민국의 평범한 블로거 이자, 흔히 말하는 SNS를 기업 대내외 커뮤니케이션(소통) 관점에서 컨설팅 하고 온라인 마케팅/홍보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