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포그라픽
-
[인포그라픽] 2012년 소셜 미디어 통계 정보를 한눈에 정리해봅니다 - 아직 한달이나 남았는데 말이죠웹과 IT 서비스/소셜 Social 2012. 11. 27. 07:30
11월말, 그것도 이제 10여일도 남지않은 11월을 맞아 벌써 2012년을 정리하는 소셜 미디어 통계/이슈 차트가 인포그라픽을 떡하니 쏟아져 나오기 시작했습니다. 그것도 우리가 다 알고 있는 모든 채널의 주요 팩트만 숫자와 아기자기한 이미지로 정리해서 말이지요. 두말하면 잔소리가 될 것 같으니 우선 하기 인포메이션이 담긴 이미지를 부드럽게 스크롤을 해보면서 내용을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지금부터 다른 내용을 찾지 않아도, 시간 - 공간 - 서비스/플랫폼 기준 생산된 모든 자료들을 한번에 정리해준 Go-Globe.com에 감사하다는 말을 하고 싶네요. Infographic by- GO-Globe.com 위의 인포그라픽을 정리한 Data Source는 RAGAN's PR Daily에서 52가지 팩트들을 정리..
-
[인포그라픽] 소셜 콘텐츠 작성 5단계 - 소셜 비즈니스 업계를 이해하고자 한다면 콘텐츠 작성에 대한 이해부터!웹과 IT 서비스/소셜 Social 2012. 9. 21. 09:21
매일 매일 블로깅을 하던 때가 있었습니다. 하지만 개인적인 밥벌이를 하게 되면서 블로그 열람하는 것도 어려운 시기가 있었지요. 블로그를 주 업무로 하는 회사에서도 있어봤고, 블로그 덕분에 온라인 PR 에이전시에서 컨설턴트라는 직책을 가지고 국내 유명 기업/브랜드의 PR 업무도 했었답니다. 블로그를 가지고 소수 강연 부터 많은 분들에게 블로그가 필요하다고 설득하는 대규모 강연도 했었는데요.어떻게 보면 소셜 미디어가 시류에 묻혀서 열심히 전파되고 있기는 하지만 무엇이 우선이 되어야 하고 무엇이 기본이 되어야 하는지 알지 못한채 무작정 파고 드는 이들이 있습니다. 단지 인적 네트워크를 확산해간다는 개념만 이해한채 인맥 컨설팅을 하던 분들도 소셜 비즈니스 시장에 뛰어들어 시장을 흔들었던 2010년 중반부터 후반..
-
[인포그라픽] 소셜 영향력 지표, 클라우트 Klout 를 말해본다 - 내 영향력 지표는 얼만큼?웹과 IT 서비스/소셜 Social 2012. 7. 13. 07:30
최근 재미난 서비스 하나가 첫선을 보였지요. 일명 인플루언서, 쉽게 말하면 온라인 영향력 지표를 스코어(점수화) 하여 보는 주는 서비스인데요. 바로 소셜 클라스(socialKlass) 입니다. 아직까지는 페이스북 계정 연동으로 인해서 페이스북의 활동 히스토리를 점수화 하여 보여주는 것에 그치고 있기는 합니다. 점수 메트릭스에 대한 의문이 조금 들기는 하지만 해외의 모델인 클라우트(Klout)를 한글화 하여 한국 사정에 맞춰 만든 정성을 최대한 발휘했다고만 표현하고 싶습니다. 아직도 전세계 어디든지 '인플루언서' 마케팅을 심도있게 실현한 기업도 없고 사례도 없지요. 몇몇 곳에서 온라인 영향력자라 하여 블로거 관계 프로그램이 가장 기본적인 영향력자를 활용한 관계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활용될 뿐입니다. 그만큼 ..
-
[인포그라픽] 구글 플러스와 페이스북, 이젠 환경자체가 달려졌다 - 재미난 인포그라픽떠들어볼만한 얘기 2012. 6. 20. 09:27
개인적으로는 트위터와 페이스북, 그리고 구글 플러스와 미투데이, 블로그 까지 하는 멀티 유저입니다. 하지만 5가지 채널을 모두 사용하시는 분은 많지 않다는 것이지요. 한개 채널 활용하는 것도 어려운데, 어떻게 5개 채널을 다 이용하냐 라고 되물으시는 분들에게는 핀터레스트와 팬시(Fancy)까지 한다고 덧붙여 말하곤 합니다. 그만큼 한가지만으로 만족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지요.되려, 구글 플러스와 페이스북만 열심히 하고 계시는 사용자 분들을 보고 있으면 차이점을 물어봅니다. 10명중 9명은 완전 사용패턴도 다르고 업데이트 되는 콘텐츠에도 차이가 있다고 하죠. 맞습니다. 완전 이제는 생태계의 환경 자체가 달라졌고. 구글 플러스가 나온지 이제 만 1년이 되어가는 시점에서 남탕이니 여탕이니 하는 우스겟 소리마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