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간
-
시간관리, 우리들이 흔히 범하는 실수 5가지떠들어볼만한 얘기 2014. 7. 1. 15:11
시간관리를 위한 팁들을 공유하면서 궁극적인 질문을 하게 되었습니다. 누구나 시간관리에 대한 고민과 해결점을 이야기 하지만 매번 발생하는 실수와 시행착오를 재진단 해볼 수는 없을까? 하는 의문이 있었습니다.그러한 질문에 대한 5가지 요소들을 간략하게 정리해보고자 합니다.1. 나중에 하지 뭐! 단 기억과 메모에 지배 당해선 안 된다.적고, 또 적고, GTD에도 적고, 사진도 찍어서 에버노트(및 클리우드 메모툴)에도 저장해 봅니다. 결국, 잊어버리거나 적어놓았던 메모를 들춰보기는 커녕 잃어버리는 경우가 더 많습니다. 그렇다고 머릿속에 기억해놨던 수많은 것들을 외우기보다는 2% 생각나면 그나마 좋은 기억력으로 자신만만 해지는 것 빼곤 좋은 것이 있을까 되물어 보고 싶네요. 이제부터 지금 바로 할 수 있는 우선순..
-
소셜미디어 활동에도 휴일은 있다.웹과 IT 서비스/소셜 Social 2010. 11. 26. 00:15
개인적으로 타이틀과 같은 규칙을 정하고 있지요. 나름대로의 규칙이랄까? 기업의 소셜 미디어 활동 규약 같은 "룰(rule)"을 정한 것인데요.블로깅은 1일 1포스트를 정하고 하던 시기와 달리 소셜 채널을 활용하다보면 개인적으로 할애해야 하는 시간들을 온라인으로 인해 잘 쓰지 못하는 경우가 있더라구요. 한편으로는 아날로그, 오프라인의 중요성을 의식해서 인지 더더욱 주말과 일요일은 오프라인을 지향하곤 합니다. ..... 두개의 스마트폰 디바이스(블랙베리, 아이폰)을 쓰면서 점점 더 온라인에 종속되는 것 같아 개인적인 룰이 스스로 콘트롤 하고 제재하는 맛을 길들이는 중이지요. 블로그가 국내에서 한창 명성도를 쌓아가던 2007년, 2008년은 그야말로 토요일, 일요일 구분없이 글을 쓰곤 했지요 하지만, 소셜 열..
-
나는 시간이 아주 많은 어른이 되고 싶었다 - 내게 주어진 소중한 시간서평_북스타일+영화 2010. 2. 3. 23:27
일상에 대한 많은 생각들을 현대인들은 무심결에 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트위터 뿐만 아니라 국내의 미투데이와 같은 소셜 네트워크, 소셜 미디어 활용으로 인해 출근길이 더욱 바빠지고 분주하게 되었는데요. 이에 책 읽은 시간 20여분 내지 못해서 아둥바둥 할때도 있었습니다. 바로 시간에 대해서 너무나 얽매여, 많은 것을 얻으려 했던 자신의 시간을 통제 못한 잘못(?) 이라 말할 수 있겠지요. 산문집을 골라서 읽어보면, 이어지지 않는 내용을 접해본적이 없습니다. 우리들의 일상이 매일매일 이어지지 않는 것 처럼 산문집 또한 이어지라는 법도 없지 않을까 라는 생각에 이 책을 꺼내들었습니다. 무심코, 나도 모르게 출근길, 퇴근길에 책 한권, 책속의 책장 한장 넘길 틈을 주지 못한 건 시간을 넉넉히 기다리게 하지 못..