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분석
-
소셜 비즈니스 환경에 임하는 우리들의 자세, 우리가 놓치고 있는 기본적인 것들웹과 IT 서비스/소셜 Social 2014. 2. 24. 16:05
2개월이라는 시간이 흘러 따뜻한 봄을 맞이해야 할 때가 왔습니다. 각 브랜드 및 기업마다 새로운 전략과 로드맵을 가지고 작년과 또 다른 소셜 미디어 채널 관리를 하고 있는 시기인데요. 각 채널 담당자는 2014년을 위한, 2014년만의 채널 운영과 캠페인을 구상-운영하는 시기 입니다. 따뜻한 봄이 어떠한 다채로운 실행들이 선보일지 기대가 되기도 합니다. 하지만, 무엇보다 기획 - 전략 - 실행에 있어서 이전보다는 많은 부분에 있어 평준화 되어 간다는 느낌이 강하게 드는 요즘입니다. 특히 올해는 지난 동계 올림픽 이후 월드컵 및 아시안게임 등이 연간 이벤트 플랜의 한 축을 장식하고 있기에 그에 따른 준비가 만만치 않아 보이는데요. 그럴 수록 가장 기본적인 것에서 ‘소셜 채널’ 운영 플랜을 준비한다면 보다 ..
-
소셜 분석을 넘어서 소셜 리서치로, 개인적인 고민 5가지 - 플래텀에서 연재를 시작합니다웹과 IT 서비스/소셜 Social 2013. 4. 23. 08:00
작년말부터 개인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들여다보는 키워드가 있습니다. 소셜 분석 업종에서 잠시 있으면서 느낀것은 '하나'의 툴로 '다양함'을 감상 - 찾기 할 수 없다는 것이었지요. 바로 데이터의 객관화는 다양한 툴을 활용해서 다양한 시각으로 봐라봐야 한다는 것이었습니다.단순한 긍정/부정 이슈더라도, 왜 긍정/부정 이슈가 제기되고 있는지를 파악해야 하며 그 속에서 핵심 이슈는 어떠한 채널에서 전파되었고, 채널 전파를 나르는 전이의 주최인 '영향력자'는 어디서 나오고 있느냐를 찾아내는 일입니다. 특히 소셜 분석이라는 키워드를 가지고 단방향의 데이터 추론 및 분석을 하는 다양한 실험에서 나왔던 결론은 '한가지' 것만 가지고 되는 것은 없었다 였습니다.그리고, 소셜 분석 - 데이터 분석을 통한 결과값 도출에는 다..